만쥬의 개발일기
article thumbnail
[백엔드 기술 면접 대비] - 3.Nginx를 사용한 리버스 프록시는 왜 필요할까?
🖥️CS/📒백엔드 2023. 11. 21. 18:00

리버스 프록시란? 클라이언트 요청을 대신 받아 내부 서버로 전달해주는 것을 리버스 프록시(Reverse Proxy) 라고 한다. 그렇다면 프록시란? 프록시란 대리라는 의미로, 정보를 대신 전달해주는 주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만약 이 프록시 없이 웹 서버를 운영한다고 가정해보자. localhost:3000 라고 하는 웹서버를 열어서 운영했을 때, 사용자가 갑자기 많아지거나, 웹서버가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적으로 위험성이 증가한다. nginx를 사용하면 로드 밸런싱으로 부하를 줄여줄 수 있고, 분산 처리 또한 가능하며 웹서버의 SSL 인증도 적용할 수 있다. (SSL이란?) 따라서 아래와 같이 사용자 -> nginx -> 웹서버로 구성해서 사용자의 요청을 nginx가 대신 웹서버로 전달해주도록 ..

article thumbnail
[백엔드 기술 면접 대비] - 2. SSL이란?
🖥️CS/📒백엔드 2023. 11. 21. 17:54

SSL이란? SSL(Secure Sockets Layer)은 암호화 기반 인터넷 보안 프로토콜이다. 인터넷 통신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출범했고, SSL은 현재 사용 중인 TLS 암호화의 전신이다. TLS와의 차이 또한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 SSL은 TLS(Transport Layer Security)이라는 또 다른 프로토콜의 바로 이전 버전이다. 1999년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SSL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안했고, IETF가 이 업데이트를 개발하고 Netscape는 더 이상 참여하지 않게 되면서, 이름이 TLS로 바뀌었다. SSL의 최종 버전(3.0)과 TLS 첫 버전의 차이는 크지 않으며, 이름이 바뀐 것은 소유권 변경..

article thumbnail
[백엔드 기술 면접 대비] - 1. Entity, DAO, DTO, VO란?
🖥️CS/📒백엔드 2023. 11. 7. 14:51

오늘은 데이터 컨트롤의 기초라고 볼 수있는, 데이터 객체들에 대해 한 번 짚고 넘어간다. Entity란? Entity는 도메인 모델 객체로서, 실제 테이블과 매핑되어 변경 될 시 다른 여러 Class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Entity는 다음 특징들이 있다. DB의 테이블과 1대 1로 대응된다. DB의 테이블이 가지지 않은 칼럼을 필드로 가져선 안된다.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거나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여서는 안된다. Setter 사용을 지양한다. 여기서 Setter 사용을 지양하는 이유는 , Setter의 사용이 Entity의 일관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Setter 대신 다른 방법으로 필드에 값을 넣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Entity를 생성할 때는 Builder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