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쥬의 개발일기
article thumbnail
[Spring / trouble Shooting] -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com.mysql.cj.jdbc.Driver

Spring Boot와 mysql 연동 중 다음 에러가 발생했다. 해결방법 1(실패): implementation 'mysql:mysql-connector-java' → implementation 'mysql:mysql-connector-j' 해결방법 2(실패): connenctor.jar 파일 설치 후 프로젝트에 추가 원인 알고보니 원인은 config를 정의할때 뒤에 공백이 하나 들어가있었던 것….. 진짜 바보같은 이유지만 항상 조심하자 찾아준 동기 왈 : "IDE가 친절하게 노란색으로 표시까지 해주잖아" 할말하않 ..

[Docker / Trouble Shooting] - 도커 설치 또는 apt-get update 중 gpg error : NO_PUBKEY XXXXXXXXXXX 해결법 총 정리
🛠️TOOL/🐳Docker 2024. 2. 14. 16:09

본 포스팅에서는 원격 서버에 도커 설치 중 발생한 에러에 대해 다룬다. 도커를 설치하려고 하면, 우선 apt-get update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 때 gpg error가 발생할 때가 있다. 에러상황: $ sudo apt-get update Hit:1 bionic InRelease Get:2 bionic InRelease [4,595 B] Get:3 stable InRelease [1,825 B] Err:3 stable InRelease The following signatures couldn't be verified because the public key is not available: NO_PUBKEY 4EB27DB2A3B88B8B 그 에러를 해결하던 중 내가 겪은 모든 에러에 대해 다뤄보겠다. ..

article thumbnail
[PostgreSQL / Trouble Shooting] - PostgreSQL 에러 로그 확인 및 해결법(psql: error: could not connect to server: No such file or directory )
🛠️TOOL/🐘PostgreSQL 2024. 2. 14. 16:07

개발환경 linux ubuntu 20.04 문제 상황 postgre 서버를 실행하고, psql로 접속을 시도하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psql: error: could not connect to server: No such file or directory Is the server running locally and accepting connections on Unix domain socket "/var/run/postgresql/.s.PGSQL.5432"? 그래서 먼저 포트가 열렸는지를 확인했는데, 포트도 열려있지 않았다. (포트 설정은 /var/lib/postgresql/{version}/main/postgresql.conf 에서 확인가능) sudo lsof -i :5432 혹시나 해서 Pos..

[Docker] - 도커가 active 상태이나 빌드에 실패할 때 : ERROR: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TOOL/🐳Docker 2024. 1. 23. 14:12

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이 도커는 문제없이 active 상태이지만, 빌드에 실패할 때가 있다. $ sudo systemctl status docker ● docker.service - 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Loaded: loaded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Tue 2024-01-23 11:51:01 KST; 1min 6s ago Docs: https://docs.docker.com Main PID: 25391 (dockerd) Tasks: 10 CGroup: /system.slice/docker.service ..

article thumbnail
[PostgreSQL / Trouble Shooting] PostgreSQL 에러 로그 확인 및 해결법(psql: error: could not connect to server: No such file or directory )
🛠️TOOL/🐘PostgreSQL 2024. 1. 22. 11:41

개발환경 linux ubuntu 20.04 문제 상황 postgre 서버를 실행하고, psql로 접속을 시도하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psql: error: could not connect to server: No such file or directory Is the server running locally and accepting connections on Unix domain socket "/var/run/postgresql/.s.PGSQL.5432"? 포트 개방 여부 확인 그래서 먼저 다음 명령어로 포트가 열렸는지를 확인했는데, 포트도 열려있지 않았다. (포트 설정은 /var/lib/postgresql/{version}/main/postgresql.conf 에서 확인가능) sudo lsof..

[Docker] - 컨테이너 종료 안될 때 : Error response from daemon: cannot stop container: 8b25ecab3b40: tried to kill container, but did not receive an exit event
🛠️TOOL/🐳Docker 2024. 1. 17. 17:58

가끔가다 docker rm이나 docker stop 같은 명령어들이 먹통이 될때가 있다. rm 같은 경우는 docker rm -f 등의 명령어로 해결될 때가 있으나, docker stop같은 경우는 그냥 docker service를 재시작하는 것이 건강에 이롭다. systemctl restart docker 단, 재시작 시 실행 중인 컨테이너들이 종료되어 docker ps -a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중 항시 실행시켜줘야 하는 컨테이너들은 다시 docker start로 실행 시켜주자. reference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434777/cannot-kill-container-container-id-tried-to-kill-container-but-did-n..

article thumbnail
[Puppeteer / Trouble Shooting] puppeteer가 좀비 프로세스를 종료하지 않는 문제

puppeteer로 만든 프로그램을 돌리는 중, chromium 브라우저가 종료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다음 명령어로 chromium 창이 몇개 떠 있는지 확인해보자. pgrep chromium | wc -l 949개?! 엄청난 메모리 손실을 유발하고 있었다. 지금은 겨우 버티고 있을지 몰라도, 언제 서버가 다운될 지 모르는 상황이다. ps -ef로 확인을 해보니, 좀비 프로세스로 끝도 없이 남은 모습.. 분명히 browser.close()를 해준 것 같은데 왜 좀비로 남은 걸까? 그 이유는 try catch문으로 감싸서 브라우저를 닫아줄 때, try문에만 browser.close를 적어주었기 때문이다. 이미 브라우저를 켠 상태에서 error가 날 경우 프로그램이 종료되며 해당 브라우저는 좀비 프로세..

article thumbnail
[PostgreSQL] - PostgreSQL DB생성 및 접속 시 Peer authentication 에러 해결법
🛠️TOOL/🐘PostgreSQL 2024. 1. 1. 23:18

PostgreSQL을 사용하며 DB를 생성하거나, psql로 접속할때 종종 Peer authentication 에러가 발생하곤 한다. 이때에는 pg_hba.conf파일의 설정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먼저 pg_hba_conf 파일의 위치를 찾아야하는데, 리눅스 우분투의 경우 보통 다음 경로에 위치한다. /etc/postgresql/{postgresql 버전}/main/pg_hba.conf 해당 파일을 vi 편집기로 접속하고, 몇가지 설정을 변경해준다. 로컬 호스트 기준 여기서 local all postgres와 local all all의 peer을 모두 md5로 변경해준다. 위 사진과 같이 변경되었다면 저장을 해준다. 외부 host기준 host all all 127.0.0.1/32 md5 위 설정에서 12..